부인 기제 축문 서식 및 양식 무료 다운로드 (페이지 1)
부인 기제 축문에 필요한 서식 및 양식을 지금 무료로 다운로드하세요. 아래한글과 워드 형식으로 제공됩니다. "부인 기제 축문" 관련 무료 서식 목록의 1페이지입니다.
부인 기제 축문 문서 양식 리스트
-
부인기제축문(한글) 부인기제축문 놓 고 제 사 를 받 드 오 니 흠 향 하 시 옵 소 서 삼 가 맑 은 술 과 여 러 가 지 음
조회수: 56 | 다운로드: 223
-
부인기제축 부인기제축 饗 향 玆 以 淸 酌 庶 羞 伸 此 尊 儀 尙 자 이 청 작 서 수 신 차 존 의 상 顯 室 孺 人 英 陽
조회수: 87 | 다운로드: 171
-
장자기제축문(한글) 장자기제축문 놓 고 제 사 를 지 내 니 흠 향 하 기 바 란 다 이 에 맑 은 술 과 여 러 가 지 음 식 을
조회수: 48 | 다운로드: 242
-
남편기제축문(한글) 남편기제축문 자손이 없을 때는 아내가 제주가 된다. 공 손 히 제 사 를 받 드 오 니 흠 향 하 시 옵 소 서
조회수: 54 | 다운로드: 201
-
장자기제축 장자기제축 饗 향 玆 以 淸 酌 庶 羞 陳 此 專 儀 尙 자 이 청 작 서 수 진 차 전 의 상 故 子 秀 士 甲 東 歲
조회수: 48 | 다운로드: 199
-
남편기제축 남편기제축 자손이 없을 때는 아내가 제주가 된다. 饗 향 謹 以 淸 酌 庶 羞 恭 伸 奠 獻 尙 근 이 청 작 서 수 공
조회수: 34 | 다운로드: 208
-
부모기제합설축 부모기제합설축 아버지의 제사때 어머니도 함께 합설하는 축문 饗 향 謹 以 淸 酌 庶 羞 恭 伸 奠 獻 尙 근 이 청 작
조회수: 132 | 다운로드: 260
-
-
본관성씨를 쓰며 남자위에는 학생(學生)을 쓰나 만약 의 경우 남자가 벼슬을 했을 때 학생대신에 그 벼슬의 관직을 쓰며 그 의 부인은 남편의 관직명을 다라서 유인대신 관명을 씁니다. 축문치수 : ○cm X ○cm
조회수: 210 | 다운로드: 381
-
부친기제단설축 부친기제 단설축 饗 향 謹 以 淸 酌 庶 羞 恭 伸 奠 獻 尙 근 이 청 작 서 수 공 신 전 헌 상 顯 考 學 生 府
조회수: 41 | 다운로드: 203
-
기제일과시간 기제일 및 시간 기제(忌祭)란 사람이 죽은날, 즉 기일(忌日)에 지내는 제사를 말한다. ○년상을 치른 경우의 기일은
조회수: 120 | 다운로드: 224
-
대행축(代行祝) 대행축(代行祝) 기제대행이란 祭主가 유고(有故)하여 행사(行祀)하지 못할 때 아들, 아우, 숙부등이 제주를 대신하여 行祀하는 것을 말한다. 기제대
조회수: 45 | 다운로드: 250
-
제례의종류와진설법 제례의 종류와 진설법 ○. 제례의 종류 ○) 기제사 기제는 기일제사의 약칭으로 기일 즉,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를 말한다. 기제는 오늘날의 가정에서
조회수: 80 | 다운로드: 301
-
이루어진다. 과거에 사당을 모실 때는 '유사즉고'(有事즉告)라 하여 일이 있을 때마다 축문을 작성해서 조상에 고했기 때문에 기제사의 경우에는 추모하는 뜻만 기록했었다. 그래서 일정한 서식이 있어 날짜와 봉사자, 대상만을 사실대로 써넣으면 되었다. 근래는
조회수: 546 | 다운로드: 925
-
모친기제단설축 모친기제단설축 饗 향 謹 以 淸 酌 庶 羞 恭 伸 奠 獻 尙 근 이 청 작 서 수 공 신 전 헌 상 顯 比 孺 人 平
조회수: 31 | 다운로드: 182
-
조부모기제합설축 조부모기제합설축 饗 향 謹 以 淸 酌 庶 羞 恭 伸 奠 獻 尙 근 이 청 작 서 수 공 신 전 헌 상 顯 祖 比 孺 人
조회수: 41 | 다운로드: 184
-
조부기제단설축 조부기제단설축 饗 향 謹 以 淸 酌 庶 羞 恭 伸 奠 獻 尙 근 이 청 작 서 수 공 신 전 헌 상 顯 考 學 生 府
조회수: 26 | 다운로드: 199
-
사를 받드는 자손이 제사를 받는 조상에게 제사의 연유와 정성스러운 감회,그리고 간략하나마 마련한 제수를 권하는 글이다. 특히 기제사에서 지방을 붙이면 축문을 읽는것이 원칙이다. 살아계신 어른에게 색다른 음식을 올릴 때 의당 권하는 말씀을 올리는 것처럼 조
조회수: 349 | 다운로드: 537
-
배우자의 경우 별세한 날로부터 ○일까지이고 그 밖의 경우는 장례일까지이다. 이때 지내는 제사가 탈상제인데 제사 지내는 방법은 기제(忌祭)에 준한다. 축문은 고례에 따라 한문식으로 쓰거나 현대식으로 한글로 쓴 축문을 쓰거나 가릴 필요없이 형편에 따라서 행하
조회수: 799 | 다운로드: 495
-
증조부모축문 증조부모축문 이 축문은 증조부 제사 축문이다. 증조모의 경우에는 첫머리의 현증고조를 현증조비로 고쳐쓰면 된다. 淸청 顯현 顯
조회수: 307 | 다운로드: 448